맨위로가기

릴 메트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 메트로는 프랑스 릴 지역의 도시철도 시스템으로, 1960년대 릴 시의 분산화 계획에 따라 1983년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건설되었다. 현재 2개의 노선(1호선, 2호선)을 운영하며, 총 60개의 역을 갖추고 있다. 1호선은 1983년에 개통되어 콰트로 칸통-스타드 피에르 모루아역에서 CHU-유라상테역까지 운행하며, 2호선은 1989년에 개통되어 생-필리베르역에서 CH-드롱역까지 운행한다. 릴 메트로는 완전 자동 운전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13년부터 1호선 수송 능력 확장을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릴의 건축물 - 릴 공항
    릴 공항은 프랑스 릴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유럽 각지를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운영 및 확장 과정에서 소음 및 환경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다.
  • 1978년 설립된 철도 기업 - VIA 철도
    VIA 철도는 1977년 설립된 캐나다의 국영 여객 철도 회사로, 캐나다 전역에서 19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운행 중단 및 축소되었지만 정부 보조금과 고빈도 철도 프로젝트를 통해 서비스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 릴 - 오토루트 1호선
    프랑스의 주요 고속도로인 오토루트 1호선은 파리에서 릴까지 일드프랑스와 오드프랑스 지역을 통과하며 주요 도시와 공항 접근성을 제공하고, 유럽 자동차 도로망의 일부로 국제적인 연결성을 갖추고 있다.
  • 릴 - 에콜 상트랄 릴
    에콜 상트랄 릴은 1854년 프랑스 릴에 설립된 공학 학교로, 산업 협력을 통한 응용 연구를 개척했으며, 현재 공학, 석사, 박사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협력 및 연구 활동을 진행한다.
릴 메트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리을 메트로
현지 이름Métro de Lille
종류중량 수송 시스템
위치, 노르, 오드프랑스, 프랑스
운영자일레비아
노선 정보
노선 수2개
역 수60개
시스템 길이45 km
운행 정보
개통일1983년
1일 승객수271,230명 (2011년)
연간 승객수9천 9백만 명 (2011년)
기술 정보
차량 시스템고무차륜 지하철, 안내 궤도
기타
웹사이트Ilevia
릴 메트로 로고
릴 메트로 로고
오스카 랑브레 메트로 역
오스카 랑브레 메트로 역
릴 메트로 1호선 및 2호선 노선도
릴 메트로 1호선 및 2호선 노선도

2. 역사

릴 메트로 건설 역사는 릴 시의 분산화 및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함께 시작되었다. 1960년대 릴 시가 분산되면서, 릴 지역의 일부 도시들은 고립되어 대중교통 서비스가 열악했고, 릴 시내는 교통 체증과 버스로 혼잡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8년 릴 동부 개발 공공 기관(EPALE)이 설립되었다. 1970년대에는 4개 노선으로 구성된 경전철 시스템 계획이 개발되었으며, 기존 철도 시스템보다 VAL 시스템을 선택했다.

1978년 건설이 시작되어, 1983년 4월 25일에 1호선 4 칸통(4 Cantons) - 레퓌블리크(République) 구간이 개통되었고, 1984년 5월 2일 1호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호선은 C.H.R. B 칼메트(Calmette) - 4 칸통 사이에 18개 역이 있으며, 릴-플랑드르역과 빌뇌브 다스크를 경유한다. 노선 길이는 13.5km이며, 이 중 8.5km가 지하 구간이다.

1989년 4월 3일 2호선이 개통되었고, 2000년 10월 27일 벨기에 국경과 가까운 종점 C.H. 드롱(Dron)까지 연장되어, 총 32km 길이에 44개 역을 갖추게 되었다.

1호선과 2호선 모두 완전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모든 역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60년대 ~ 1983년)

1960년대에 시의 분산화가 고려되었는데, 릴 지역의 일부 도시들은 고립되어 기존 대중교통 서비스가 열악했고, 릴 시내는 교통 체증과 버스로 혼잡했다. 이러한 분산화로 인해 1968년 릴 동부 개발 공공 기관(EPALE)이 설립되었다. 1970년대에는 4개 노선으로 구성된 경전철 시스템 계획이 개발되었으며, 기존 철도 시스템보다 VAL 시스템을 선호했다.[1]

1978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983년 4월 25일, ''콰트르 캉통''(Quatre Cantons, "네 개의 자치구")과 ''레퓌블리크''(République)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 1984년 5월 2일, 1호선은 13.5km (지하 구간 8.5km) 길이로 완공되었으며, ''CHR B 칼메트''(centre hospitalier régional, "지역 병원 센터")를 릴 플랑드르역을 경유하여 ''콰트르 캉통''과 연결되었다.[1] 1호선 개통에는 약 이 소요되었다.[1]

2. 2. 1호선 완전 개통 및 2호선 건설 (1984년 ~ 2000년)

1984년 5월 2일, 1호선이 CHR B 칼메트(Calmette) - 콰트르 캉통 구간으로 완전 개통되었다. 총 길이는 13.5km (지하 구간 8.5km)이며, 릴-플랑드르역을 경유한다. 1호선 개통에는 약 20억 프랑이 소요되었다.

1985년 4월, 2호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롬(Lomme)의 생 필리베르(Saint Philibert) 종착역을 지나 빌뇌브 다스크에 2호선 차량기지가 개통되었다. 1호선은 4개월 동안 시험 운전을 거쳐 1988년 말에 운행을 시작했다. 1989년, 지하철 운영사인 코멜리(COMELI)는 버스 및 트램 네트워크 운영사인 코트랄리(COTRALI)와 합병하여 통합 대중교통 기관이 되었다.

1989년 4월 3일, 2호선이 개통되어 루베, 투르쿠앵을 연결했다. 1994년 5월 5일에는 2호선 유라릴(Euralille)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9년 3월에는 빌뇌브 다스크, 바스칼, 크루아(Croix), 루베 구간이 개통되었고 (같은 해 8월 18일 정식 개통), 포 몽스와 장 조레스 역 사이에는 1.3km의 고가도로 구간이 있다. 2000년 10월 27일, 2호선 CH 드롱(Dron) 구간이 개통되어 현재의 노선(32km, 44개 역)이 완성되었다.

두 노선 모두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에 이어 두 번째로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철이다.

2. 3. 3, 4호선 계획 및 대안 (2000년대 ~ 현재)

1970년대에 4개 노선 시스템이 최초 계획되었지만, 현재 2개 노선만 건설되었다. 2000년 6월 릴 메트로폴 도시 공동체(CUDL)는 도시 교통 계획(PDU)에서 '지하철 건설 비용으로 새로운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1] 2003년에는 3호선 건설 비용이 8.1억유로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과도한 비용으로 간주되어 시는 대신 지상 네트워크, 즉 버스 및 트램 시스템에 투자를 모색했다.[1] 2010년 도시 교통 부회장 에릭 키케는 LMCU가 '더 이상 새로운 지하철 노선을 계획하지 않는다'고 밝히고, '우선 순위는 버스, 도시 트램, 트램트레인 네트워크 개발'이라고 언급하며 이 결정을 확인했다.[1]

3. 노선

릴 메트로는 현재 2개의 노선과 60개의 역을 운영하고 있다. 모든 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에 이어 두 번째로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철이다.[1]

노선개업년도킬로미터역 수
style="background:#FFE703;"|-- 1호선1983년12.5km18
style="background:#E1021A;"|-- 2호선1989년31.1km44



1호선은 1983년 4월 캉통(4 Cantons)과 레퓌블리크(République) 사이에서 개통되었으며, 1984년 5월 2일에 레퓌블리크와 C.H.R. B 칼메트(Calmette)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1호선 개통에 소요된 비용은 두 단계 모두 약 20억 프랑이었다.

2호선 건설은 1985년 4월에 시작되었다. 롬(Lomme)의 생 필리베르(Saint Philibert) 종착역을 지나 빌뇌브 다스크에 2호선 차량기지가 개통되었다. 1호선은 4개월 동안 시험 운전을 거쳐 1988년 말에 운행을 시작했다.

과 인접 도시인 루베투르쿠앵 사이의 구간은 4단계로 건설 및 개통되었다. 첫 번째 연장은 1994년 5월 5일에 개통되었으며, 유라릴(Euralille) 비즈니스 지구와 릴의 다른 지역을 연결한다.

세 번째 구간은 약 13km로 가장 긴 구간이다. 1999년 3월에 운행을 시작하여 같은 해 8월 18일에 개통되었다. 이 구간은 빌뇌브 다스크, 바스칼, 크루아(Croix), 루베를 지나 투르쿠앵 시내에 정차한다. 노선은 주로 지하로 운행되지만, 포 몽스와 장 조레스 역 사이에는 1.3km의 고가도로 구간이 있다. 마지막 구간은 2000년 10월 27일 리오넬 조스팽 총리에 의해 개통되었다.

3. 1. 1호선

1983년에 개통되었다. 총 길이는 12.5km이며, 18개 역이 있다. 콰트로 칸통-스타드 피에르 모루아역 ~ CHU-유라상테역 구간을 운행한다.[5]

노선개업년도킬로미터역 수구간
style="background:#FFE703;"|-- 1호선1983년12.5km18콰트로 칸통-스타드 피에르 모루아역 ~ CHU-유라상테역



1978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983년 4월 25일에 1호선의 ''콰트로 칸통''(Quatre Cantons)과 ''레퓌블리크''(République)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5] 1984년 5월 2일에는 1호선이 ''CHR B 칼메트''(centre hospitalier régional)에서 릴 플랑드르역을 경유하여 ''콰트로 칸통''까지 연결되면서 완공되었다.[5]

1호선은 총 13.5km 길이이며 (이 중 8.5km는 지하 구간) 18개 역을 운행한다.[5] 열차는 너비 2m이고 길이 26m이며 (고무차륜 방식)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장은 길이 52m로, 2개 편성의 열차를 수용할 수 있지만 현재 승강장 길이의 절반만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각 편성은 승객 156명을 수송할 수 있다.[5]

시스템의 VAL 선로

3. 2. 2호선

2호선은 1989년 4월 3일에 개통되었으며, 과 2개의 큰 교외 도시인 루베투르쿠앵을 연결하며, 2000년 10월 27일에는 벨기에 국경 근처의 ''CH 드롱'' (''centre hospitalier'': "병원 센터")에 도달했다. 총 연장은 31.1km이며 44개의 역이 있다.[1]

노선개업년도킬로미터역 수구간
-- 2호선1989년31.1km44생-필리베르역 ~ CH-드롱역



4. 운영



릴 메트로는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운행한다. 열차 운행 간격은 1분 30초 ~ 4분 (러시아워 66초), 이른 아침 및 저녁에는 6~8분, 일요일에는 2~6분 간격이다.[6] 1회권 요금은 1.8유로이다.(2024년 기준)[7]

4. 1. 차량

릴 메트로는 VAL 206, VAL 208 모델을 사용한다.[6] 열차는 너비 2m, 길이 26m이며 2량 1편성으로 구성된 고무차륜 방식이다.[6] 각 편성은 156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6] 승강장은 52m 길이로, 2개 편성의 열차를 수용할 수 있다.[6]

4. 2. 수송 능력 확장 계획

2013년 1월부터 1호선의 수송 능력을 두 배로 늘리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승강장은 알스톰에서 제작한 52m 길이의 신형 열차에 맞춰 연장되고 있다. 이 확장은 2017년 가을에 완료될 예정이었지만,[8] 2024년 1월까지도 완료되지 않았다.[9] 1호선의 VAL 208은 승객 수송 능력을 높이기 위해 2호선으로 이전될 예정이다.[10]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Les chiffres de fréquentation Transpole 2011 http://www.lilletran[...] Lille Transport - Parlons mobilité 2012-02-11
[2] 웹사이트 Qui sommes-nous? - Notre Histoire http://mobilite.tran[...] Transpole
[3] 서적 Jane's Urban Transport Systems 1995-96 Jane's Information Group 1995
[4] 웹사이트 Les chiffres clés http://mobilite.tran[...] Transpole
[5] 웹사이트 De 26 à 52 métres : un métro deux fois plus long pour une capacité de transport renforcée http://www.lillemetr[...] Lille Metropole Communauté Urbaine
[6] 웹사이트 Les lignes de métro http://www.transpole[...] Transpole
[7] 웹사이트 Les titres occasionnels http://www.transpole[...] Transpole
[8] 웹사이트 Nouvelle ligne 1: Alstom entame la modification des rames http://www.lillemetr[...] Lille Metropole Communauté Urbaine 2013-09-23
[9] 뉴스 doublement-des-rames-de-metro-a-lille-la-metropole-et-alstom-s-affrontent-devant-la-justice-2899418.html https://france3-regi[...]
[10] 웹사이트 La nouvelle ligne 1 : plus de de fluidité, plus de confort, plus de services http://www.lillemetr[...] Lille Metropole Communauté Urba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